클라우드(AWS)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 Query API는 AWS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API 호출 형식 중 하나이다HTTP 요청을 통해 서비스에 명령을 전달하고 응답을 받는 방식이다. AWS의 여러 서비스는 RESTful API, JSON API, XML API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지만,특정 서비스는 Query API 형식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EC2의 Query 요청 :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APIReference/Query-Requests.html Query requests for Amazon EC2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Query requests f..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 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 Data Pipeline(사용 비추천)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이동시키는 Full managed 서비스이다.Data Pipeline은 지정한 주기로 데이터를 변환(ETL)하거나 처리하여 다른 AWS 서비스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ata Pipeline 특징Data Pipeline은 개발용 GUI가 제공되어 쉽게 데이터를 처리 가능하다.AWS뿐만 아니라 온프레미스 데이터도 처리 가능하다.주로 EC2, RDS, S3, EMR에서 사용할 수 있다.사용 예시) 예시) RDS / EC2 → S3EC2 또는 RDS에 있는 데이터의 확장자를 변경시켜서 매일 S3에 전송하기단순히 데이터를 S3와 같은 곳에 주기적으로 복사하거나 ..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mazon AthenaAWS의 서버리스(fully managed)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S3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쉽게 바로 쿼리를 실행 할 수 있다. Amazon Athena 특징[Athena 사용 이유]: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는 Amazon EMR이나 Amazon Redshift 등이 있지만, 이들 모두 귀찮고 힘든 인프라 관리를 필요로 한다. 반면, Athena는 이러한 고려 없이 빠르게 쿼리를 통한 분석을 하고자 할 때 적합한다.[주요 기능]: 데이터를 S3에 저장하고, Athena를 통해 직접 SQL 쿼리를 실행하기.예시) S3에 csv를 저장되어 있다면 Athena의 Console에서 csv 파일을 지정하는 쿼리 실핼..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lock Device MappingBlock Device Mapping은 EC2 인스턴스에 연결된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정의하는 방법이다.이를 통해 인스턴스 시작 시 어떤 볼륨이 연결되고, 해당 볼륨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지정할 수 있다. 지정 가능한 스토리지 서비스: (2가지)Amazon EBSInstance Store Volume(⨻ EFS나 S3 같은 스토리지 서비스등은 다 연결 하지 못한다.)  Root Device Volume (루트 디바이스): EC2 인스턴스의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기본 볼륨.데이터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로그 파일,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하는 추가 볼륨.Instance Store (인스턴..
·클라우드(AWS)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ecurely deliver content with low latency and high transfer speedsAmazon CloudFrontCloudFront는 🌐전 세계의 유저에게 동영상이나 이미지와 같은 콘텐츠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이다.  사전 지식🧑‍💻 CDN (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CDN이란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웹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CDN은 전 세계의 서버 위치를 활용하여 통신의 물리적 거리를 줄여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CDN의 자세한 내용: https://jib..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 Elastic BeanstalkAWS Elastic Beanstalk는 개발자가 인프라에 대한 고민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만 집중하여, 쉽게 배포하고 할 수 있게 해주는 AWS 서비스이다. (AWS 측에서 인프라 측에 설정을 해준다.)몇 번의 클릭만으로 인프라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 특징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프라(서버)을 따로 생각해서 준비할 필요 없다. → 개발자의 생산성 상승Elastic Beanstalk가 인프라를 위한 부하 분산, 모니터링 등을 개발자 대신 해준다.EC2 인스턴스는 운영체제(OS)는 물론, 웹 서버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등이 설치된 상태로 제공관련된 AWS 서비스(ELB, ..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mazon kinesis는 기본적으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이다.  Amazon KinesisAmazon Kinesis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이다. 스트리밍 데이터란?대량의 데이터 소스로 인해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로그, IoT 데이터, ...)   Amazon Kinesis에는 4가지 종류의 서비스가 있다.Kinesis Data StreamsKinesis Data Firehose (현재 이름: Amazon Data Firehose)Kinesis Data Analytics (현재 이름: Amazon Managed Service for Apache Flink )Kinesis Video Str..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C2 인스턴스를 여러개 운영하고 있는데 여러 개의 인스턴스 대상으로 동시에 명령어를 실행하고싶다.어떤 AW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할까? → → → Run Command (Session Manager)  Session Manger (SSM)SSM RunCommandAWS Console에서 인스턴스에 접속해 명령어를 실행 할 수 있는 기능(SSH등으로 서버 내에 들어갈 필요없다) RunCommnad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EC2일 경우)인터넷 접속 (Outbound)대상 EC2에 SSM Agent를 설치해야한다.대상 EC2에 SystemsManager가 액션을 실행할수있도록 접근은 허가  자세한 설명: https://docs..
찌르비
'클라우드(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 (2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