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mazon CognitoCognito는 AWS 측에서 사용자의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관리해 주는 서비스이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Cognito를 통해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로그인 데이터는 Cognito를 통해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또한, 소셜 로그인(외부 ID Provider: Facebook, Google 등)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Cognito의 2가지 컴포넌트Cognito는 크게 2가지로 나눠진다.유저 풀 (User Pool)ID 풀 (Identity Pool) 1. 유저 풀 (User Pool): 로그인 관리유저 풀은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증과 관리(회원가입과 로그인..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 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TL;DR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빅 데이터 플랫폼 Amazon Elastic MapReduce Amazon EMREMR은 빅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서비스이다.EMR을 통해 Apache Hadoop와 Apache Spark같은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사용가능하다.다수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분산처리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petabyte급 데이터를 분석/처리해 준다.Elastic MapReduce의 "MapReduce"은 Google이 개발한 빅데이터 분산처리 프레임워크를 의미한다.빅데이터 예시:아마존의 고객의 구매 기록우버의 실시간 교통 데이터이러한 빅데이터는 하나의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양이 아니다.여러..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 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에 데이터 전송에 관하여 헷갈리는 3대장 서비스가 있다.그것은 바로 Snow Family, DataSync, Storage Gateway이다.3가지 서비스 모두 온프레미스에서 AWS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디테일이 다르다.이 디테일에 관하여 정리를 해야겠다.  TL;DRDataSync자동화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온라인 전송, 주기적인 데이터 전송, 동기화 필요 시)Snow Family대량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오프라인 전송, 네트워크 제약 시, 한번에 다 전송)Storage Gateway온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와 AWS 스토리지를 동시 운영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백업을 위함)  DataSyncData..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TL;DRObject Lock(객체 잠금)은 S3 bucket에 저장한 Object에 대해서 업데이트(변경)와 삭제를 못하게 방지한다.    S3 객체 잠금S3 Object Lock: 삭제 및 변경 방지S3의 Object Lock은 Amazon S3에 저장된 객체의 삭제 및 변경/업데이트를 방지하는 기능이다. S3 Object Lock 특징Object Lock는 bucket을 새로 작성 시에만 설정 할 수 있다.Object Lock을 유효화 시키면 자동으로 Versioning도 유효화 된다. (Versioning이란→ https://jibinary.tistory.com/314)   Legal Hold (리걸 홀드): 특정 객체를 ..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mazon MQAmazon MQ는 완전 관리형 메시지 브로커 서비스이다.메시지 브로커는 메시지 큐를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SQS와 차이점- AWS 환경에서 신규로 메시징 큐를 만들 경우는 SQS를 사용하기- 기존의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사용했던 MQ를 그래로 AWS에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 Amazon MQ를 사용하기  Amazon MQ 특징완전 관리형 서비스: 설치, 유지보수, 소프트웨어 패치 등을 AWS측에서 관리Apache ActiveMQ 및 RabbitMQ와 같은 오픈소스 메시지 브로커를 지원한다.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간에 비동기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고가용성: 멀티 AZ(가용..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 IoT CoreAWS IoT Core는 IoT(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AWS 클라우드와 연결하는 서비스이다.그리고 연결한 IoT 기기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oT 디바이스를 AWS 클라우드에 연결하고 싶을 경우 사용된다.   IoT 디바이스를 사용할 경우 API Gateway와 같은 서비스가 아닌IoT Core를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에 특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지원하는 프로토콜]수백만 개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연결하고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MQTT(메시지 큐 및 원격 분석 전송)MQTT over WebSocket Secure(웹 소켓 보안)HTTPS(하이..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Lambda를 생성할 때 따로 VPC 정보를 넣을 필요가 없다.그래서 Lambda는 VPC는 관련 없는지 알았다. 하지만 Lambda는 VPC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VPC Lambda라고 한다....아니 사실 Lambda는 생성되면 따로 Lambda 전용의 안전한 VPC에 자동으로 배치된다.우리(유저)가 만든 VPC와는 다른 Lambda 전용의 VPC이다. 이 Lambda 전용 VPC에서 인터넷이나 인터넷을 경유로 해서 public한 AWS 리소스에 접근 할 수 있다.하지만 유저가 만든 VPC의 private subnet 안의 AWS 리소스에는 접근할 수 없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의문점) Serverle..
·클라우드(AWS)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 DataSyncDataSync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이다1)온프레미스나 2)다른 클라우드, 3)AWS의 스토리지에서 AWS로 데이터를 (쉽고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이다.DataSync를 사용해 데이터 전송을 할려면 인터넷이 연결되어야 한다.  DataSync User Case (사용 예시)1.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기업의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이전온프레미스의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DataSync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금융 기관이 온프레미스에서 Amazon S3로 수십 테라바이트의 고객 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DataSync는 자동암호화 기능이 있어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낸다. 2. 백..
찌르비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0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