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ocker 없이 웹서버를 사용하는 방식
웹 브라우저랑 웹 서버의 2대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웹 서버에는 Apache를 이용하고 있고
브라우저가 웹 서버의 index.html 파일에 접근하고 싶을 때.
80번 포트로 접속
Docker 를 이용할 경우
도커를 이용할 경우는 지금 까지 봤던 웹서버가 하나의 container가 된다.
그리고 container를 갖고있는 운영체제를 Host라고 부른다.
container를 가지고 있는 host는 컴퓨터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host의 file system이나 port를 또 가지고 있다.
container와 host 는 둘다 독립적인 실행환경이기 때문에
그에따른 독립적인 port와 file system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단지 https://www.example.com:80/index.html 주소로 연결할려고 해도 연결 안된다.
Host 내부에서도 Docker 컨터이너의 80 포트와 Host의 80 포트 끼리 연결해주어야 한다.
docker run -p 80:80 httpd 라는 도커의 명령어를 통해 포트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https://www.example.com:80/index.html 주소로 연결이 가능해진다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SJFO2w5Q2HI&list=PLuHgQVnccGMDeMJsGq2O-55Ymtx0IdKWf&index=5
728x90
반응형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Dockerfiler 작성 방법 (이미지 만드는 법) (0) | 2023.04.14 |
---|---|
[Docker] 도커의 기본적인 명령어 (알아두면 좋은 것들 정리) (0) | 2023.02.06 |
[Docker] 도커와 컨테이너란? 아주 쉽게 설명!! (Container, Image)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