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erraform init
init = 초기화(initiate)
Terraform 코드 완성 후, 테라폼을 실행할 때 가장 먼저 입력해야하는 명령어.
(Terraform은 .tf 파일(코드)만 있다고 실행되지 않는다. 명령어로 실행해야줘야 된다)
terraform init
Initializing the backend...
Initializing provider plugins...
Terraform has been successfully initialized!
📦 terraform init이 하는 일
작업 | 설명 |
✅ Provider 플러그인 다운로드 | 클라우드 provider 확인 (예: AWS, Google Cloud 등) |
✅ Backend 설정 초기화 | Backend를 어디로 지정했는지 확인 (예: S3에 상태 파일 저장 설정) |
✅ Module 다운로드 | 외부 GitHub나 Terraform Registry에서 |
✅ .terraform 디렉토리 생성 | 다운로드한 데이터 저장 폴더 |
❌ 변수(variable) 검증 | 변수 값이 있는지는 아직 검사하지 않음 (terraform plan에서 검사됨) |
🤔 문제 1
terraform init은 현재 디렉토리에 샘플 main.tf 파일을 초기화한다.
- 참 (True)
- 거짓 (False)
정답
더보기
정답. 2번 거짓
🤔 문제 2
terraform init 명령어가 수행하지 않는 작업은 무엇인가요?
- 구성 파일에 있는 모든 provider를 가져오고, 로컬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 백엔드(backend)에 연결한다.
- 모든 모듈을 가져와서 로컬에 복사한다.
- 필요한 모든 변수(required variables)가 존재하는지 검증한다
정답
더보기
정답 4번
반응형
'Terra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raform] variable란? 쉽게 정리 (terraform.tfvars란) (0) | 2025.06.23 |
---|---|
[Terraform] terraform force-unlock 명령어란? 쉽게 정리 (0) | 2025.06.20 |
[Terraform] terraform import 명령어란? 쉽게 정리 (0) | 2025.06.19 |
[Terraform] String Function란? 쉽게 정리 (문자열 처리 함수) (0) | 2025.06.19 |
[Terraform] output 이란? 쉽게 정리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