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te Limit (요청 제한)
Rate limit은 정해진 시간 동안 클라이언트(예: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등)가 서버(예: API)에 보낼 수 있는 요청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예시)
유저는 1분 동안 최대 10개의 API 요청을 보낼 수 있다. 10개를 초과하면 "429 HTTP(Too Many Requests)"으로 요청이 차단된다.
Rate Limit 특징
- [악의적 활동 방지 & 서비스 안정성 보장]
갑작스러운 트래픽 폭증(예: DDoS 공격이나 과도한 요청)으로 인해 서버가 과부하에 걸리는 것을 방지 - [비용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나 API 제공자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과도한 사용을 막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작동 방식
Rate limit은 주로 시간 간격과 최대 요청 수를 기반으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초당 10개의 요청"
"1분당 100개의 요청"
"하루에 1,000개의 요청"
요청이 제한을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응답이 반환됩니다:
HTTP 429 Too Many Requests: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너무 많이 보낸 경우 반환되는 HTTP 상태 코드.
에러 메시지: "Rate limit exceeded" 또는 "Try again later".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D란? 아주 쉽게 정리 (Process ID) (0) | 2025.01.12 |
---|---|
Webhook(웹훅)이란? 아주 쉽게 정리 (0) | 2024.11.22 |
OAuth, OpenID Connect, SAML를 아주 쉽게 정리 (1) | 2024.10.11 |
IT 분야에서 "Throttling"란? 쉽게 정리 하기 (스로틀링) (3) | 2024.09.26 |
IT 분야에서 "Exponential backoff" 란? 쉽게 정리 하기 (1)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