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ource Groups
Resource Groups는 여러 AWS 리소스를 그룹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특정 태그(Tag)나 검색 조건을 기준으로 여러 리소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이 가능합니다.
Resource Groups 사용 예시
개발 환경별 그룹화: prod, dev, test 태그를 사용하여 개발, 테스트, 운영 환경을 구분.
Tag Editor
- Tag Editor는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다.
- Tag Editor를 통해 여러 AWS 리소스를 한 곳에서 검색하고 Tag를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 검색된 리소스에 Tag를 대량으로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Tag를 기반으로 AWS Cost Explorer나 AWS Budgets에서 리소스별 비용을 분석할 수 있다.)
참고 자료: https://docs.aws.amazon.com/tag-editor/latest/userguide/tagging.html
What is Tag Editor? - Tagging AWS Resources and Tag Editor
What is Tag Editor? Tag Editor enables you to effectively manage tags. Tags are key and value pairs that act as metadata for organizing your AWS resources. With most AWS resources, you have the option of adding tags when you create the resource. Examples o
docs.aws.amazon.com
🤔 문제
한 회사가 최근 다른 기업을 인수했으며, 해당 기업의 모든 AWS 계정을 인수했습니다. 재무 분석가는 이러한 계정의 비용 데이터를 확인해야 합니다. SysOps 관리자는 Cost Explorer를 사용해 비용 및 사용 보고서를 생성합니다. 이때 SysOps 관리자는 월 비용의 20%가 "No Tagkey"로 표시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SysOps 관리자는 "No Tagkey" 리소스에 태그를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 AWS Organizations에 계정을 추가합니다. Service Control Policy(SCP)를 사용하여 모든 태그가 없는 리소스에 태그를 추가합니다.
- AWS Config rule을 사용해 태그가 없는 리소스를 찾습니다. 수정 작업(remediation action)을 설정해 해당 리소스를 종료합니다.
- Cost Explorer를 사용해 모든 태그가 없는 리소스를 찾아 태그를 추가합니다.
- Tag Editor를 사용해 모든 태그가 없는 리소스를 찾아 태그를 추가합니다.
정답
정답. 4번
1번 (오답)
SCP는 리소스 사용을 제한하거나 관리 정책을 적용할 때 사용된다. SCP는 태그를 자동으로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2번 (오답)
AWS Config rule을 통해 태그가 없는 리소스를 식별할 수는 있지만 수정(remediation) 작업으로 리소스를 종료하는 것은 과도한 조치이다.
🤔 문제
한 글로벌 기업이 5개의 AWS 리전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SysOps 관리자는 회사의 태그가 있는 및 태그가 없는 모든 Amazon EC2 인스턴스를 식별하려고 합니다. 이 회사는 출력 결과에 인스턴스 ID와 태그 정보가 표시되도록 요구합니다.
가장 운영적으로 효율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 AWS Resource Groups에서 태그 기반 리소스 그룹을 생성합니다.
- AWS Trusted Advisor를 사용하여 EC2 온디맨드 인스턴스 검사 결과를 내보냅니다.
- Cost Explorer를 사용하여 서비스 유형을 EC2-Instances로 선택하고, **리소스별(Group by Resource)**로 그룹화합니다.
- AWS Resource Groups의 Tag Editor를 사용하여 모든 리전을 선택하고, 리소스 유형을 AWS::EC2::Instance로 선택합니다.
정답
정답. 4번
'클라우드(AWS) > SOA-C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Watch Agent의 "procstat plugin"란? 쉽게 정리 (프로세스에 관한 리소스 성능을 세밀하게 추적) (0) | 2025.01.12 |
---|---|
[AWS] Customer Gateway란? 쉽게 정리 (feat. Site-to-Site VPN) (0) | 2025.01.12 |
[AWS] EFS의 Mount Target이란? 쉽게 정리 (0) | 2025.01.11 |
[AWS] CloudFromation의 Mappings 이란? 쉽게 정리 (0) | 2025.01.10 |
[AWS] CloudFront의 "Forward Cookies"란? 쉽게 정리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