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WS Backup
AWS Backup은 AWS 서비스의 데이터를 쉽게 백업(backup)하고 복구(restore)할 수 있도록하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AWS 서비스(예: S3, RDS, EFS, DynamoDB 등)의 데이터 백업 작업을 계획하고 자동화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정해진 스케줄로 자동화된 백업을 위해 Lambda와 같은 스크립트가 필요했지만, AWS Backup를 통해 자동화된 백업을 실현할 수 있다.
AWS Backup 특징
- 다양한 AWS 서비스의 백업: EC2, RDS, DynamoDB, EBS, S3 등의 백업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 자동화된 백업 스케줄: 백업 계획(Backup Plan)을 생성하여 자동화된 백업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 예시) 매일 밤 19시에 EC2 백업 실행, 30일 동안 보존(retention days)
- Tag를 통해 리소스가 자동으로 백업 대상에 포함되도록 설정 가능.
- 컴플라이언스 향상: 백업 활동 로그가 표시된다. 회사 내부 요구 사항이나 규제 요구 사항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 저비용: 초기 비용이 들지 않고, 백업을 위한 서버가 필요하지 않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AWS Backup 지원하는 서비스들
- Amazon Elastic Block Store (EBS)의 볼륨
- Amazon EC2 인스턴스
- Amazon RDS (Amazon Aurora 포함)
- Amazon DynamoDB
- Amazon Elastic File System (EFS)
- Amazon FSx for NetApp ONTAP
- Amazon FSx for OpenZFS
- Amazon FSx for Windows File Server
- Amazon FSx for Lustre
- ...etc
Backup Plan 설정 방법
AWS BackUp → Create backup plan
- Backup frequency(백업 빈도) 예: 매일, 매주 등
- Backup window(백업 시간대)
- Retention period(보관 기간) 예: 30일, 1년 등
- Lifecycle(수명 주기) 백업 데이터를 삭제하는 시점
반응형
'클라우드(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oute53의 Hosted Zones(호스트 존)이란? (Public / Private Hosted Zones) (0) | 2024.09.06 |
---|---|
[AWS] Aurora Serverless란? 쉽게 정리 (0) | 2024.09.04 |
[AWS] ARN (Amazon Resource Name) 이란? 쉽게 정리 (0) | 2024.08.31 |
[AWS] Egress Only Internet Gateway란? 쉽게 정리 (Egress-Only 인터넷 게이트웨이, NAT) (0) | 2024.08.31 |
[AWS] VPC Lattice란? 쉽게 정리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통신 관리, Transit Gateway와의 차이점) (1) |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