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
RTO (Recovery Time Objective) |
|
목표 복구 시점 | 목표 복구 시간 | |
의미 | 장애 발생 시 어느 시점으로 백업할 지 결정하게 될 지표 | 장애 발생 시 시스템을 원 상태로 복원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 |
특징 | - 백업한 시점으로 돌아가기 - 데이터 손실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가 |
- 시스템이 얼마나 빨리 복구되어야 하는가 - 장애로 멈췄다가 서비스가 재개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AWS 기반 재해 복구(DR) 아키텍처, 1부: 클라우드에서의 재해 복구 전략 | Amazon Web Services
이 글은 AWS Architecture Blog에 게시된 Disaster Recovery (DR) Architecture on AWS, Part I: Strategies for Recovery in the Cloud을 한국어로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필자는 AWS Well-Architected 신뢰성 원칙의 수석 솔루션 설
aws.amazon.com
반응형
'클라우드(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보안 서비스들: GuardDuty, Inspector, Macie 차이점 비교해서 정리 (0) | 2024.04.12 |
---|---|
[AWS] Amazon GuardDuty란?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1) | 2024.04.12 |
[AWS] Amazon Macie란?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머신러닝을 활용해 S3 Bucket에서 민감한 데이터 발견) (0) | 2024.04.11 |
[AWS] Amazon Inspector란?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0) | 2024.04.10 |
[AWS] CloudHSM이란? 쉽게 개념 정리 (HSM란? , KMS와 차이점 정리) (0) | 2024.04.10 |
반응형
◇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하였으니 틀린점,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
RTO (Recovery Time Objective) |
|
목표 복구 시점 | 목표 복구 시간 | |
의미 | 장애 발생 시 어느 시점으로 백업할 지 결정하게 될 지표 | 장애 발생 시 시스템을 원 상태로 복원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 |
특징 | - 백업한 시점으로 돌아가기 - 데이터 손실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가 |
- 시스템이 얼마나 빨리 복구되어야 하는가 - 장애로 멈췄다가 서비스가 재개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AWS 기반 재해 복구(DR) 아키텍처, 1부: 클라우드에서의 재해 복구 전략 | Amazon Web Services
이 글은 AWS Architecture Blog에 게시된 Disaster Recovery (DR) Architecture on AWS, Part I: Strategies for Recovery in the Cloud을 한국어로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필자는 AWS Well-Architected 신뢰성 원칙의 수석 솔루션 설
aws.amazon.com
반응형
'클라우드(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보안 서비스들: GuardDuty, Inspector, Macie 차이점 비교해서 정리 (0) | 2024.04.12 |
---|---|
[AWS] Amazon GuardDuty란?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1) | 2024.04.12 |
[AWS] Amazon Macie란?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머신러닝을 활용해 S3 Bucket에서 민감한 데이터 발견) (0) | 2024.04.11 |
[AWS] Amazon Inspector란?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0) | 2024.04.10 |
[AWS] CloudHSM이란? 쉽게 개념 정리 (HSM란? , KMS와 차이점 정리) (0) | 202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