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기록용이니 틀린점 있다면 알려주세요
EC2는 사실 서브넷 안에 있는게 아니다.
ENI를 통해 EC2와 Subnet을 연결한다.
ENI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lastic Network Interface
ENI는 EC2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생성된다.
ENI는 일종의 EC2의 가상의 랜카드(LAN Card) 라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
이 카드를 통해 컴퓨터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로써 여러 대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ENI 특성
- ENI는 IP주소와 MAC주소를 가지고 있다
- ENI 하나당 1개 이상의 Private IP 주소 부여가능
- (optional) Public IP 주소 부여 가능
- EC2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ENI와 연결되어 있다.
- EC2 생성하면 Primary ENI가 생성되어 연결된다.
- 🚩 EC2는 1개 이상의 ENI 보유 가능
실질적으로 ENI가 EC2의 서브넷의 위치와 보안그룹의 연결을 담당한다.
처음에 배울 때 서브넷 안에 EC2를 둔다고 우리가 이미지해서 배우지만,
사실은 서브넷안에 EC2를 두는 것이 아니라 서브넷 안에 ENI를 두고 EC2와 연결시킨다.
EC2는 단지 같은 Availibility Zone 안에 있다.
ENI가 가지고 있는 속성
- VPC의 IPv4 주소 범위 중 기본 프라이빗 IPv4 주소
- VPC의 IPv6 주소 범위 중 기본 IPv6 주소
- VPC의 IPv4 주소 범위 중 하나 이상의 보조 프라이빗 IPv4 주소
- 프라이빗 IPv4 주소당 한 개의 탄력적 IP 주소(IPv4)
- 한 개의 퍼블릭 IPv4 주소
- 한 개 이상의 IPv6 주소
- 하나 이상의 보안 그룹 (Security Group)
- MAC 주소
참고자료)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using-eni.html
Elastic network interfaces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For EC2 instances in an IPv6-only subnet, if you attach a secondary network interface to the instance, the private DNS hostname of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will resolve to the first IPv6 address on the instance's first network interface. For more infor
docs.aws.amazon.com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roQuec3VPzc
'클라우드(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KMS란? 쉽게 개념 정리 (Key Management Service, SSE, CSE) (0) | 2024.04.09 |
---|---|
[AWS] AWS Snow Family 시리즈 (Snowcone, Snowball, Snowmobile 차이점, Datasync) (0) | 2024.03.22 |
[AWS] CloudTrail 쉽게 개념 및 특징 정리 (Event History, Insights, Trail 작성하기) (1) | 2024.03.12 |
[AWS] 로드 밸런서 ELB (ALB, NLB, CLB, GWLB) 쉽게 특징과 차이점 정리 (2) | 2024.03.04 |
[AWS] SES vs. SQS vs. SNS 비교 핵심만 쉽게 정리 (0) | 2024.03.01 |